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《피라미드 게임》 리뷰: 교실 안 서열 사회의 민낯, 이건 그냥 드라마가 아니다

by 석이아빠 2025. 11. 12.

2024년 넷플릭스 공개 이후, 2025년까지도 꾸준한 화제성을 이어가는 한국 학원 서바이벌 드라마,
바로 **《피라미드 게임(Pyramid Game)》**입니다.

학급 내 ‘투표’라는 명분을 통해 누군가를 왕따로 지정하고, 무제한 괴롭힐 수 있는 구조를 그려낸 이 작품은
단순한 학원물이 아닌, 현대 사회의 구조적 폭력과 권력 메커니즘을 교묘하게 압축해 낸 수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

1. 작품 기본 정보

항목내용
📺 제목 피라미드 게임 (Pyramid Game)
📅 공개일 2024년 2월 29일
🎬 연출 박소연
🖊️ 극본 최수영
📚 원작 두나 작가 웹툰 『피라미드 게임』
👥 출연 김지연(조이), 장다아, 류다인, 신슬기 등
🎭 장르 학원, 서스펜스, 사회 드라마
🕒 회차 총 10부작
📈 OTT 넷플릭스 독점 공개

2. 줄거리 요약: "A를 받으면 무사, F는 벌레"

정현여고 2학년 5반.
이 반에는 매달 한 번, **모든 학생이 서로를 평가해 투표하는 '피라미드 게임'**이 존재합니다.

  • A~F 등급까지 나뉘며
  • F등급을 받은 학생은 누구든지 폭력, 따돌림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교사도, 부모도, 사회도 이 구조에 개입하지 않습니다.

전학 온 **성유(김지연)**는 이 부조리한 시스템에 충격을 받고,
처음엔 방관자였지만, 점차 이 게임의 규칙을 깨고자 직접 피라미드 위로 올라서는 길을 선택합니다.


3. 감상 포인트

1. “단순한 학원물이 아니다”

‘피라미드 게임’은 단지 10대 사이의 괴롭힘을 다룬 드라마가 아닙니다.
이 드라마는 권력 구조, 다수의 폭력성, 비겁한 방관, 그리고 침묵의 공모를 매우 입체적으로 그려냅니다.

  •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고
  • 누구나 가해자가 될 수 있으며
  • 모두가 침묵하면 폭력은 지속됩니다.

이는 단지 교실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, 현실 속 회사, 조직, 사회 전반의 축소판으로 작용합니다.

2.  배우들의 실제 같은 몰입도

  • 김지연(레드벨벳 조이): 연기력 논란을 완벽하게 잠재운 ‘성유’ 역으로 강한 인상
  • 장다아: 서늘한 매력을 가진 ‘백하린’ 역으로 존재감 부각
  • 류다인, 신슬기 등 신예들도 캐릭터 몰입력이 높아 신선한 캐스팅의 힘을 보여줍니다.

3.  연출·미장센의 힘

  • 학급 내부를 회색 톤과 무채색으로 구성, 감정의 메마름을 시각화
  • 카메라 앵글은 좁고 숨 막히는 공간 연출을 극대화해 심리적 공포감 유발
  • 배경음악은 절제돼 있으며, 침묵과 시선 교환이 주는 긴장감이 특징

 

4. 반응 및 흥행 성과

  • 넷플릭스 한국 TOP10 진입, 공개 후 3일 만에 2위 등극
  • X(구 트위터), 유튜브 쇼츠 등에서 밈/짤 생성 급증
  • 해외 시청자 반응도 긍정적, 특히 동남아, 남미에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름
  • 웹툰 원작도 동시 인기 상승 → 카카오페이지 검색량 급증
  • 시즌2 제작 가능성 높은 작품 중 하나로 언급됨

5. 어디서 볼 수 있나요? (2025년 10월 기준)

플랫폼시청 가능 여부
넷플릭스 ✅ 전 회차 공개 중 (10부작)
웨이브 ❌ 미제공
티빙 ❌ 미제공
디즈니+ ❌ 미제공
쿠팡플레이 ❌ 미제공

※ 넷플릭스 단독 오리지널 시리즈입니다.


6.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

  • ✅ 긴장감 넘치는 심리극을 선호하는 분
  • ✅ 사회 구조적 문제에 관심 있는 시청자
  • ✅ 현실감 있는 학원물/서바이벌 콘텐츠를 원하는 분
  • ✅ 웹툰 원작 드라마를 좋아하는 분
  • ✅ 김지연(조이)의 새로운 모습을 보고 싶은 레베럽 팬

7. 함께 보면 좋은 유사 콘텐츠

제목관련성
📽️ 인간수업 학교+범죄+심리
📽️ D.P. 사회 시스템 비판
📽️ 더 글로리 학교폭력 + 복수극
📽️ 이태원 클라쓰 계급/권력 구조의 도전
📽️ 이로운 사기 시스템에 맞서는 여성 주인공

8. 결론: 《피라미드 게임》은 우리가 방관한 폭력에 대한 거울이다

이 드라마는 단순히 '왕따를 그린 학원물'이 아닙니다.
우리 사회에 만연한 구조적 폭력, 그리고 그 폭력을 만든 침묵과 방관자들에 대한 날카로운 고발입니다.

‘왜 아무도 말리지 않았을까?’
‘나였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?’

이 드라마는 당신의 입장을 되묻고, 결코 가볍지 않은 질문을 던집니다.
그리고 그 질문은 드라마가 끝난 뒤에도 긴 여운으로 남습니다.